지민이는 N개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양방향 순환 큐를 가지고 있다. 지민이는 이 큐에서 몇 개의 원소를 뽑아내려고 한다.
지민이는 이 큐에서 다음과 같은 3가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첫 번째 원소를 뽑아낸다. 이 연산을 수행하면, 원래 큐의 원소가 a1, ..., ak이었던 것이 a2, ..., ak와 같이 된다.
왼쪽으로 한 칸 이동시킨다. 이 연산을 수행하면, a1, ..., ak가 a2, ..., ak, a1이 된다.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시킨다. 이 연산을 수행하면, a1, ..., ak가 ak, a1, ..., ak-1이 된다.
큐에 처음에 포함되어 있던 수 N이 주어진다. 그리고 지민이가 뽑아내려고 하는 원소의 위치가 주어진다. (이 위치는 가장 처음 큐에서의 위치이다.) 이때, 그 원소를 주어진 순서대로 뽑아내는데 드는 2번, 3번 연산의 최솟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큐의 크기 N과 뽑아내려고 하는 수의 개수 M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M은 N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에는 지민이가 뽑아내려고 하는 수의 위치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위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1번부터 N번까지 N명의 사람이 원을 이루면서 앉아있고, 양의 정수 K(≤ N)가 주어진다. 이제 순서대로 K번째 사람을 제거한다. 한 사람이 제거되면 남은 사람들로 이루어진 원을 따라 이 과정을 계속해 나간다. 이 과정은 N명의 사람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계속된다. 원에서 사람들이 제거되는 순서를 (N, K)-요세푸스 순열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7, 3)-요세푸스 순열은 <3, 6, 2, 7, 5, 1, 4>이다.
N과 K가 주어지면 (N, K)-요세푸스 순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
(7, 3)
1 2 3 4 5 6 7
3번째 제거 3
4 5 6 7 1 2
3번째 제거 6
4 5 6 7 1 2
3번째 제거 2
7 1 2 4 5
3번째 제거 7
4 5 7 1
3번째 제거 5
1 4 5
3번째 제거 1
1 4
나머지 남은 건
4
[키 포인트]
큐는 FIFO인 특성을 잘 이해하고 풀면 될 것 같습니다.
front를 빼서 다시 push하면 loop를 돌면서 저장되는 특성이 있는 걸 이해하면 쉽게 풀 수있을 것 같습니다.
프로그램 실행 시 아래 메시지 찍고 동작 안할 때 디버깅 방법 세그멘테이션 오류 (코어 덤프됨)
l 코어파일 분석하기
코어파일은 충돌할 당시 프로세스의 메모리 이미지를 덤프한 것이다. 코어파일을 gdb와 함께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상태를 조사하고 실패 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 어떤 예기치 않은 일이 발생하여 비정상적인 종료가 발생할 때 운영체계는 디스크에 코어 파일을 남긴다.메모리에 관한 문제는 Checker 패키지를 사용하여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메모리 fault를 일으키는 경우에는 충돌하면서 파일을 덤프한다. 코어파일은 일반적으로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현재 작업 디렉토리에 생성되지만 프로그램 내에서 작업 디렉토리를 바꾸는 경우도 있다.
보통 리눅스는 부팅시에 코어 파일을 만들지 않도록 세팅되어 있다. 코어 파일 생성을 가능케 하려고 한다면 그것을 다시 가능케 하는 셀의 내장 명령을 사용한다.
만약C쉘 호환 쉘(tcsh)을 쓰고 있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린다.
% limit core unlimited
만약 본쉘류( sh , bash , zsh , pdksh )를 사용하고 있다면,
$ ulimit –c unlimited
와 같은 명령을 내린다.
코어파일을 함께 사용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이 한다.
% gdb program core
참고로 ulimte -a 를 하면 현재 설정값을 볼 수 있다. core file size가 설정전 default값은 '0'이다.
core dump로 저장을 하려면 이 값을 unlimited로 변경해야 저장이 된다.
변경 방법은 아래와 같이 하면되고 변경 후의 값은 ulimit -a로 확인 가능하다.
ulimit -c unlimited
$ulimit -c 0
$ulimit -c unlimited
$ulimit -a core file size (blocks, -c) 0 data seg size (kbytes, -d) unlimited scheduling priority (-e) 0 file size (blocks, -f) unlimited pending signals (-i) 79408 max locked memory (kbytes, -l) unlimited max memory size (kbytes, -m) unlimited open files (-n) 1024 pipe size (512 bytes, -p) 8 POSIX message queues (bytes, -q) 819200 real-time priority (-r) 95 stack size (kbytes, -s) 8192 cpu time (seconds, -t) unlimited max user processes (-u) 79408 virtual memory (kbytes, -v) unlimited file locks (-x) unlimited
$ulimit -a core file size (blocks, -c) unlimited data seg size (kbytes, -d) unlimited scheduling priority (-e) 0 file size (blocks, -f) unlimited pending signals (-i) 79408 max locked memory (kbytes, -l) unlimited max memory size (kbytes, -m) unlimited open files (-n) 1024 pipe size (512 bytes, -p) 8 POSIX message queues (bytes, -q) 819200 real-time priority (-r) 95 stack size (kbytes, -s) 8192 cpu time (seconds, -t) unlimited max user processes (-u) 79408 virtual memory (kbytes, -v) unlimited file locks (-x) unlimited